본문 바로가기

2025 청년근속 인센티브 지급 –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II

by 골든마운틴 2025. 8. 6.
반응형

2025 청년근속 인센티브 지급 –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II

 

2025 청년근속 인센티브 지급 –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II 

 

"청년이 회사에 다니면, 정부에서 기업과 청년 모두에게 청년근속 인센티브를 지급해 준다!"

2025년부터 새롭게 바뀐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유형 II청년근속 인센티브 지급 제도에 대해 모든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제도 개요

2025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II는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완화하기 위한 청년근속 인센티브 지원 제도입니다.

✔  대상

  • 만 15~34세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중견기업
  • 제조업, 건설업, 운수·창고업 등 빈일자리 산업 우선 지원

✔  조건

  • 청년 채용일 기준 고용보험 미가입 기간 6개월 이상(일부 예외 가능)
  •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상 근속

 

 인센티브 지원 내용 – 기업과 청년 모두 혜택

 

✔  기업 인센티브 지원

  • 최대 720만 원 지원으로 인건비 절감
  • 채용 후 1년간 분할 지급
  • 장기근속 유도로 채용·교육 비용 절감

✔  청년 인센티브 지급

  • 총 480만 원 현금 인센티브 + 경력 쌓기
  • 6개월마다 120만 원씩, 총 4회
  • 지급 시점: 6개월·12개월·18개월·24개월 근속 시

 

 

 

지급 시기 변경 – 더 빨라진 혜택

기존에는 청년 근속 인센티브가 18개월 차부터 지급되어, 조기 퇴사 시 혜택을 못 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025년 추경 이후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유형 II 의 지급 구조가 개편되었습니다.

  • 변경 전: 18개월부터 지급 시작
  • 변경 후: 6개월 단위로 조기 지급
  • 예) 2025년 1월 채용 청년 → 7월 첫 120만 원 수령

 덕분에 청년은 빨리 목돈을 마련할 수 있고, 기업은 초기 근속 유지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   기업이 신청

  • 고용노동부 고용24 누리집 또는 관할 고용센터에서 신청

✔   필요 서류

  • 청년 근로계약서
  • 4대보험 가입증명서
  • 사업자등록증 등

✔   심사 후 승인

  • 기업과 청년 각각 지급 일정에 따라 지원금·인센티브 수령

정부24 바로가기

 

유의사항

  • 중도 퇴사 시 미도래분 인센티브 지급 불가
  • 기업이 부당해고 시 인센티브 지원금 환수
  • 동일 청년이 다른 청년 지원사업과 중복 수령 불가
  • 매년 대상 업종·규모 조정 가능

 

마무리

2025 청년근속 인센티브 지급 제도는 청년과 기업이 ‘함께 이득’을 볼 수 있는 구조입니다.
6개월만 버텨도 첫 현금 인센티브가 지급되니, 취업 준비 중인 청년과 채용을 고민하는 기업 모두 꼭 챙기셔야 합니다.

 

 

 

2025 청년근속 인센티브 지급 –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II
2025 청년근속 인센티브 지급 –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II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