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담부증여와 순수증여 세금 계산 완전 정리 (2025 최신판)
부동산을 가족에게 이전할 때 가장 많이 쓰는 방법 중 하나가 증여입니다.
그런데 단순히 무상으로 이전하는 순수증여와, 대출·전세보증금 등 채무를 함께 이전하는 부담부증여는 세금 구조가 완전히 다릅니다.
잘만 활용하면 절세 효과가 크지만, 잘못하면 세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죠.
1. 순수증여란?
✔ 정의: 조건 없이 재산 전체를 무상으로 이전
✔ 세금 구조: 수증자(받는 사람)가 자산 전체를 기준으로 증여세 부담
✔ 양도세: 없음 (유상거래가 아니므로)
✔ 취득세: 증여 취득세 기본세율 3.5% (지방교육세 등 포함 시 약 3.8%)
- 단, 조정대상지역 내 시가표준액 3억 이상 주택을 증여하면 12% 중과
- 1세대 1주택자 → 배우자·직계비속 증여 시 예외적으로 3.5% 적용
예시
시가 5억 원 아파트를 성년 자녀에게 순수증여
→ 과세표준: 5억 − 5,000만(기본공제) = 4.5억
→ 증여세: 4.5억 × 20% − 1,000만 = 8,000만 원
2. 부담부증여란?
✔ 정의 : 재산과 함께 그 재산에 걸린 채무(대출, 전세보증금 등)를 수증자가 인수하는 방식
✔ 세금 구조
- 수증자: (자산가액 − 채무액 − 기본공제) = 증여세 과세표준
- 증여자: 채무 인수분을 ‘유상 양도’로 보고 양도소득세 과세
✔ 취득세
- 무상분: 순수증여분에 증여세율(3.5% 또는 중과 12%) 적용
- 유상분: 채무액에 유상취득세율(주택 1~3% 등, 다주택·지역 따라 중과 가능) 적용
예시
시가 5억, 채무 2억, 성년 자녀 증여, 증여자 취득가 3억
- 증여세 과세표준 = (5억 − 2억) − 5,000만 = 2.5억
- 증여세 = 2.5억 × 20% − 1,000만 = 4,000만 원
- 증여자 양도차익(채무분) = 2억 − (3억 × 2/5) = 8,000만 원 → 양도세율 적용
- 취득세 = 무상분(3억) × 세율 + 유상분(2억) × 세율
3. 순수증여, 부담부 증여 세금 구조 비교
구분 | 순수증여 | 부담부증여 |
정의 | 재산 전체 무상 이전 | 재산 + 채무 이전 |
증여세 과세표준 | 자산 전체 − 기본공제 | (자산 − 채무) − 기본공제 |
증여세 부담자 | 수증자 | 수증자 |
양도세 부담자 | 없음 | 증여자(채무분) |
취득세 | 증여세율(3.5% 또는 중과) | 무상분: 증여세율 / 유상분: 유상세율 |
절세 가능성 | 낮음 | 채무액만큼 과세표준 감소 가능 |
4. 사례별 세액 비교
세액 조건
- 아파트 시가: 5억
- 채무: 2억
- 증여자 취득가: 3억
- 수증자: 성년 자녀(기본공제 5,000만)
- 주택 중과 요건 없음(취득세 3.5%, 유상 2%)
- 단순 세율 적용 예시
항목 | 순수증여 | 부담부증여 |
증여세 과세표준 | 4.5억 | 2.5억 |
증여세 | 8,000만 | 4,000만 |
양도세 | 없음 | 채무분 차익 8,000만 × 세율 적용 |
취득세 | 1,750만 | 무상분 1,050만 + 유상분 400만 = 1,450만 |
총 세부담(양도세 제외) | 9,750만 | 5,450만 + 양도세 |
채무액이 크고 증여자의 양도차익이 적을수록 부담부증여가 유리
5. 이월과세 주의사항
- 배우자·직계존비속에게 증여받은 부동산을 10년 이내 매도하면, 수증자의 취득가액을 증여자의 취득가액으로 계산(양도세 이월과세 적용)
- 2023.1.1. 이후 증여분은 5년 → 10년으로 연장
6. 증여·양도세 신고 기한
- 증여세: 증여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 양도세(부담부증여 채무분): 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 예정신고
7. 계약서 작성 시 유의사항
- 채무 내역 명확히 기재 (대출·전세계약서 첨부)
- ‘수증자가 채무를 인수하고 상환한다’는 조항 필수
- 수증자 상환능력 입증자료 첨부
- 채무 인수 절차를 등기 이전 전에 완료
8. 부담부증여와 순수증여 절세팁
- 양도세+증여세 총액 기준으로 반드시 시뮬레이션
- 채무액이 큰 경우 유리하지만, 양도차익이 많으면 불리할 수 있음
- 부담부 증여와 순수증여에 대한 정확한 전문가 상담 필요
부부 증여세 면제 한도 총정리(2025 최신)
부부 증여세 면제 총정리부부 간 재산 이전에서 증여세는 절세 전략의 핵심입니다. 그러나 제도를 잘못 이해하면 불필요한 세금을 낼 수 있으므로, 정확한 규정과 신고 절차, 유의사항을 함께
gold-mt.com
'복지지원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상속세 절세 방법 – 2025 전문가 핵심 전략 (6) | 2025.08.12 |
---|---|
부부 증여세 면제 한도 총정리(2025 최신) (4) | 2025.08.11 |
업종제한 완화된 새출발기금, 채무조정 신청 총정리 (4) | 2025.08.08 |
2025 청년근속 인센티브 지급 –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II (3) | 2025.08.06 |
2025 자동차 대체부품 현금 환급제도 - 2025 자동자보험 개정 (2) | 2025.08.05 |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완벽 가이드 (3) | 2025.08.05 |
2025 음주사고 형사합의 완벽 가이드 (3) | 2025.08.04 |
빌려준 돈, 대여금 지급명령 강제집행 절차 상세 안내 (3) | 2025.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