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득 상위 10%는 누구인가요?”
최근 정부가 발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정책에서 소득 상위 10%를 제외하기로 하면서,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내가 소득 상위 10%에 들어가는 걸까?”
“상위 10% 기준을 무엇인가요?”
2025년 기준으로 실제 ‘상위 10%’가 어떤 기준에서 나뉘는지
건강보험료·근로소득·가구소득별로 간단하고 명확하게 알려드립니다.
1. 건강보험료 기준
정부는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소득 상위 10%를 선별하고 있습니다.
이는 근로소득뿐 아니라, 부동산 재산·금융소득까지 포함해 상대적으로 가장 공정하고 실질적인 지표로 사용됩니다.
📌 2024년 말 기준 예상 상위 10% 건강보험료 기준
유형 | 월 보험료(근로자 부담분) |
직장가입자 | 273,380원 초과 |
지역가입자 | 209,970원 초과 |
2. 개인 근로소득 기준
국세청이 발표한 2022년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연 소득 약 8,328만 원(세전) 이상이면 전체 근로소득자 중 상위 10%에 해당합니다.
📌 월급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694만 원(세전) 수준입니다.
구분 | 연 근로소득 | 월 세전 소득 |
상위 10% | 약 8,328만 원 | 약 694만 원 |
상위 1% | 약 1억 7,000만 원 이상 | 약 1,416만 원 이상 |
단, 이 수치는 **근로소득(급여)**만 기준으로 하며, 사업·임대·이자소득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3 .통합소득 기준 (종합소득자)
근로소득 외에 사업소득, 임대소득, 이자·배당소득까지 포함한
종합소득 기준 상위 10%는 연 1억 5,200만 원 이상입니다.
(국세청 2021년 귀속 종합소득 신고 기준)
항목 | 상위 10% 기준 |
종합소득 | 연 1억 5,200만 원 이상 |
이 범주에는 고소득 자영업자, 프리랜서, 투자자, 다주택자 등이 포함됩니다.
4. 가구 소득 기준 (4인 가구 기준)
통계청의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4인 가구 기준 연 소득 약 2억 1,000만 원 이상이면 상위 10%입니다.
분위 | 연 평균 가구소득 |
상위 10% | 2억 1,051만 원 |
중위 50% | 5,368만 원 |
하위 10% | 1,019만 원 |
'복지지원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생직업 추천! 노인생활지도사 자격증 미리 준비하세요 (0) | 2025.07.15 |
---|---|
‘야근수당을 안주면 불법?- 포괄임금제 사례 정리 (2) | 2025.07.14 |
출국납부금 환급받기 - 대상, 환급기간 정리 (4) | 2025.07.13 |
2025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내용 총정리 (2) | 2025.07.11 |
국민연금, 탈퇴 가능한가? (5) | 2025.07.09 |
업종별 소상공인 스마트 상점 지원 사업 (2) | 2025.07.08 |
양육비 소급 청구, 과거 양육비도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7.08 |
플랫폼 노동자 전용 연금제, 이제는 논의할 때입니다. (3)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