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지원제도

소득 상위 10% 기준 알아보기

by 골든마운틴 2025. 7. 15.
반응형

소득 상위 10% 기준 알아보기

“소득 상위 10%는 누구인가요?”

최근 정부가 발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정책에서 소득 상위 10%를 제외하기로 하면서,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내가 소득 상위 10%에 들어가는 걸까?”
“상위 10% 기준을 무엇인가요?”

2025년 기준으로 실제 ‘상위 10%’가 어떤 기준에서 나뉘는지
건강보험료·근로소득·가구소득별로 간단하고 명확하게 알려드립니다.

 

 

1. 건강보험료 기준 

정부는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소득 상위 10%를 선별하고 있습니다.
이는 근로소득뿐 아니라, 부동산 재산·금융소득까지 포함해 상대적으로 가장 공정하고 실질적인 지표로 사용됩니다.

📌 2024년 말 기준 예상 상위 10% 건강보험료 기준

유형 월 보험료(근로자 부담분)
직장가입자 273,380원 초과
지역가입자 209,970원 초과

 

2. 개인 근로소득 기준

국세청이 발표한 2022년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연 소득 약 8,328만 원(세전) 이상이면 전체 근로소득자 중 상위 10%에 해당합니다.

📌 월급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694만 원(세전) 수준입니다.


구분 연 근로소득 월 세전 소득
상위 10% 약 8,328만 원 약 694만 원
상위 1% 약 1억 7,000만 원 이상 약 1,416만 원 이상
 

단, 이 수치는 **근로소득(급여)**만 기준으로 하며, 사업·임대·이자소득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3 .통합소득 기준 (종합소득자)

근로소득 외에 사업소득, 임대소득, 이자·배당소득까지 포함한
종합소득 기준 상위 10%는 연 1억 5,200만 원 이상입니다.
(국세청 2021년 귀속 종합소득 신고 기준)

항목 상위 10% 기준
종합소득 연 1억 5,200만 원 이상
 

이 범주에는 고소득 자영업자, 프리랜서, 투자자, 다주택자 등이 포함됩니다.

 

4. 가구 소득 기준 (4인 가구 기준)

통계청의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4인 가구 기준 연 소득 약 2억 1,000만 원 이상이면 상위 10%입니다.

분위 연 평균 가구소득
상위 10% 2억 1,051만 원
중위 50% 5,368만 원
하위 10% 1,019만 원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