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마트 상점, 모든 업종이 같을까?
정부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 상점 기술보급사업’을 매년 확대 운영 중입니다.
하지만 같은 스마트 상점이라도, 업종에 따라 도입 가능한 기술과 장비, 활용 방식이 매우 다릅니다.
- 외식업은 키오스크·모바일 오더 중심
- 도소매업은 고객 분석 CCTV, 전자가격표시기 등 시각 기반 장비
- 미용실·네일샵은 예약 시스템, 고객 관리 앱 중심
즉, 스마트 상점은 단순한 키오스크 지원이 아니라, 업종 특화된 스마트 시스템 도입을 위한 맞춤형 사업입니다.
2. 업종별 주요 지원
업종 | 주요지원 | 평균지원 | 활용예시 |
외식업 (카페, 식당) | 키오스크, 모바일 오더, 테이블 오더벨 | 400만원 | 주문·결제 무인화, 대기 시간 감소 |
도소매업 (의류, 잡화) | POS, 고객 분석 CCTV, ESL(전자가격표시기) | 350만원 | 재고·가격 자동화, 스마트 진열 |
서비스업 (미용실, 네일샵) | 예약 관리 시스템, 고객 CRM, 무인 접수대 | 300만원 | 1인 운영 지원, 고객 관리 고도화 |
식품 소매 (정육·수산 등) | 저온 진열 냉장고, 전자저울, 재고관리 시스템 | 450만원 | 위생·신선도 관리, 회계 정확도 향상 |
소형 약국·의원 | 무인 번호표 발급기, 자동안내 시스템 | 350만 | 고객대기정보 제공, 응대 효율성 향상 |
출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사업 자료 및 스마트상점 우수사례집 요약 분석 (2024 기준)
3. 지원신청
항목 | 내용 |
주관 기관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신청 시기 | 매년 1~2회 공고 (지역마다 별도 진행 가능) |
필요 서류 | 사업자등록증, 점포 사진, 매출 자료, 사업계획서 등 |
신청 팁 | 사업계획서에 '업종 특화 기술 활용 계획'을 명확히 기재해야 선정률 상승 |

4. 스마트 상점은 기술이 아니라 전략
스마트 상점은 ‘기계를 설치하는 사업’이 아닙니다.
내 점포의 운영 방식과 고객 흐름을 분석하고, 거기에 맞는 기술을 접목하는 과정입니다.
같은 지원을 받더라도 전략에 따라 매출 효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지금 나의 업종엔 어떤 디지털 도입이 필요한지, 진지하게 고민해보세요.
'복지지원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탈퇴 가능한가? (4) | 2025.07.09 |
---|---|
양육비 소급 청구, 과거 양육비도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7.08 |
2025 정부 서민대출 총정리 – 신용점수 600점 저금리 긴급대출? (1) | 2025.07.03 |
플랫폼 노동자 전용 연금제, 이제는 논의할 때입니다. (3) | 2025.06.27 |
주 4.5일제, 복지 사각지대 해소의 열쇠? (2) | 2025.06.24 |
전 국민 정신건강 통합관리 ‘마음투자사업’ 지원대상과 신청방법 (2) | 2025.06.23 |
월소득 수억, 왜 건보료는? 고소득자 건강보험 상한제 해부 (5) | 2025.06.23 |
근로만 해도 100만 원? 자활성공지원금 & 희망저축계좌 신청 방법 (2)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