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은 하지 않았지만 아이를 낳기로 했어요.”
이 한 문장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 많은 파장을 일으킨다. 하지만 아이를 낳는 방식과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는 지금, 자발적으로 ‘비혼모’가 되기를 선택하는 여성들의 이야기는 점점 더 많은 이들의 공감을 얻고 있다.
1. 최근 사례
✔️ 사유리 – 둘째 시도 “몸이 도와주지 않아”
사유리는 2020년 일본 정자은행에서 정자를 기증받아 아들 젠을 낳은 한국 대표 자발적 비혼모입니다. 최근 KBS <슈퍼맨이 돌아왔다>(2023.12.26)에서, 둘째 계획이 있었다고 밝히며 “몸이 도와주지 않아 포기했다”고 했습니다. 이 발언은 공감과 동시에 새로운 가족의 형태에 대한 인식을 환기했습니다.
✔️ 이시영 – 전남편 동의 없이 냉동 배아 이식
2025년 7월 8일, 배우 이시영은 이혼 절차 중 전남편 동의 없이 과거 냉동 보관된 배아를 이식해 둘째를 임신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그는 “배아 보관이 곧 만료되며 폐기할 수 없었다. 혼자서도 아이에게 부족함이 없도록 깊은 책임감으로 앞으로의 삶을 성실히 살아가겠다.”라고 밝혔고, 전남편은 이식 당시 동의는 없었지만 지금은 아빠로서 책임지겠다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이 사례는 여성의 생식권과 법적·윤리적 논쟁을 함께 불러왔습니다.
2. 통계 사례
2023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 혼인 외 출생아 수는 10,900명, 전년 대비 1,100명 증가
- 전체 신생아(230,000명)의 4.7%로, 역대 최고치
- 2018년 2.2% → 2019년 2.5% → 2020년 2.9% → 2022년 3.9% → 2023년 **4.7%**로 꾸준히 상승 중
- 2024년 사회조사(20–29세 대상)에서 **42.8%**가 “결혼하지 않아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에 긍정 의견
➡ 청년층 인식은 OECD 국가 평균(41.5%) 수준으로 성장했지만, 실제 출산율은 아직 4.7%로 낮은 편입니다.
3. 제도적·사회적 간극
⚠️ 제도: 시술·지원의 한계
- 한국은 법적 부부만 인공수정·시험관 시술을 받을 수 있어, 비혼 여성은 해외 시술 의존이 일반적입니다.
- 공공 정자은행이 없고, 민간 기증에만 의존하는 구조입니다.
⚠️ 사회문화: 편견과 사각지대
- 정부 지원은 청소년·저소득층 미혼모에 집중돼 있으며, 자기 결정에 의한 비혼모들은 행정·제도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다른 형태의 가족”이라는 사회적 편견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4. 마무리
전통적 등식인 ‘결혼=출산’이 무너지면서, 이제는 선택할 수 있는 출산의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자발적 비혼모는 자신의 계획과 의지로 새 삶을 시작합니다.
사유리와 이시영 사례는 한국 대중문화 속에서 비혼모를 당당하고 현실적인 존재로 끌어들였습니다. 특히 이시영의 선택은 법적 한계와 윤리 논쟁을 드러내며, 여성의 생식 권리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출산율은 낮지만 청년층의 인식 변화 속도는 빠르며, 실제 혼외 출산율은 계속 상승 중입니다. 이 간극이 우리의 과제입니다.
√ 제도적 요구
- 시술과 지원의 기회 확대
- 공적 정자은행 설립
- 육아·주거 정책의 포괄적 재설계
- 가족 형태 다변화에 대한 법·제도적 수용
“엄마가 되고 싶다는 마음은 존중받아야 한다.”
비혼모에 대한 인식 전환과 제도 개선은 개인의 선택과 자유를 지키기 위한 기본적인 과제입니다. 이제는 이 질문에 대한 사회적 답변을 할 때입니다.
◎ 관련글 바로가기 미혼모 국가지원 - 건강보험 기반 출산 바우처 신청방법
미혼모 국가지원 - 건강보험 기반 출산 바우처 신청방법
1. 왜 지금 ‘미혼모 복지’가 중요한가?2025년 현재, 대한민국의 출산율은 역대 최저 수준인 0.68명을 기록하며 인구절벽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출산
gold-mt.com
'함께 사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날엔 닭? 과학과 전통이 말하는 식물성 비건 보양식 (1) | 2025.07.09 |
---|---|
코리빙(Co-living), 2025년 주거 트렌드 (2) | 2025.07.03 |
장애를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 미드 5선 (7) | 2025.06.29 |
“오가노이드와 AI 독성평가 시대” – 동물실험 대체하는 정부 전략 (3) | 2025.06.28 |
ADHD 아이 학원 보내기 - 꼭 알아야 할 학원 선택 가이드 (3) | 2025.06.26 |
계란껍데기 번호, 산란계 복지를 말하다 (3) | 2025.06.25 |
장애를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 한국영화 5선 (3) | 2025.06.24 |
장애를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 외국영화 5선 (10)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