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 한강버스 노선도, 요금, 시간표 총정리

by 골든마운틴 2025. 9. 19.
반응형

서울 한강버스 노선도, 요금, 시간표 총정리
서울 한강버스 노선도, 요금, 시간표 총정리

 

서울 한강버스 노선도, 요금, 시간표 총정리

서울시가 2025년 9월 18일 개통한 한강버스는 단순한 유람선이 아닌 정기 운항 수상 대중교통입니다.
지하철·버스에 이어 한강을 새로운 교통축으로 삼아 출퇴근 + 관광 + 친환경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잡고 있습니다.
오늘은 한강버스 노선도, 요금, 운행 시간표, 장단점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한강버스란?

  • 서울시 최초의 정규 수상 대중교통
  • 마곡 ↔ 잠실 약 28.9km 구간, 총 7개 선착장 정차
  • 교통카드/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 환승 할인 적용
  • 하이브리드·전기 추진 선박 도입으로 친환경성 강화

👉 한강버스는 단순한 ‘타는 배’가 아니라, 서울의 친환경 교통+관광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려 합니다.

 

한강버스 노선도 및 선착장

서울 한강버스 노선은 마곡 → 잠실 구간을 오가며, 양방향 동일하게 정차합니다.

선착장 위치 주요 연계  교통 특징
마곡 강서구 가양동 441 9호선 양천향교역, 무료 셔틀버스 (15분 간격) 서부권 출발점, 외곽 수요 연결
망원 마포구 망원동 205-8 6호선 망원역·합정역 → 마포09/16 마을버스 연계 마포 한강공원 인접, 여가·관광 수요
여의도 영등포구 여의도동 85-1 5호선 여의나루역 도보 10분 금융 중심, 이용객 밀집 예상
압구정 강남구 압구정동 380-1 3호선 압구정역, 무료 셔틀버스 (30분 간격) 강남권 대표 거점, 관광객 많음
옥수 성동구 옥수동 86 3호선/경의중앙선 옥수역 환승 허브, 동북권 접근성 좋음
뚝섬 광진구 자양동 126-1 7호선 자양(뚝섬한강공원)역 레저·자연 여가 공간과 밀접
잠실 송파구 잠실동 1-2 2·8호선 잠실역, 무료 셔틀버스 (15분 간격) 롯데월드타워, 관광·쇼핑 밀집

서울 한강버스 노선도, 요금, 시간표 총정리
서울 한강버스 노선도, 요금, 시간표 총정리

 

한강버스 요금 체계

  • 성인 요금: 3,000원
  • 청소년·어린이 요금: 교통카드 기준 할인 적용
  • 결제 수단: 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30일권)
    • 기존 기후동행카드 가격 + 5,000원 추가 시 한강버스 무제한 이용 가능
  • 현금 결제 불가 (교통카드 필수)

👉 특히 기후동행카드 이용자는 버스·지하철·한강버스를 한 장으로 무제한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운행 시간표 및 배차 간격

  • 9/18 ~ 10/9 시범 운행
    • 시간: 오전 11:00 ~ 오후 21:37 (도착 기준)
    • 배차: 약 60~90분 간격
    • 하루 14회 완행 운행 (7개 선착장 전 정차)
  • 10/10 이후 정규 운행
    • 시간: 오전 07:00 ~ 오후 22:30
    • 배차: 평일 출퇴근 급행 15분 간격, 완행 포함 하루 약 30회
    • 연내 선박 12척 확보 → 하루 48회 운행 목표

👉 초기에는 완행만, 10월부터는 급행+완행 병행 운영됩니다.

서울 한강버스 노선도, 요금, 시간표 총정리
서울 한강버스 노선도, 요금, 시간표 총정리

 

장점 &  단점

장점

  1. 친환경 교통수단 – 전기·하이브리드 선박으로 탄소 절감
  2. 한강 경관 – 출퇴근길에도 서울 야경·강변뷰 즐김
  3. 관광+교통 결합 – 시민+관광객 수요 동시 충족
  4. 환승·정기권 혜택 – 기후동행카드로 무제한 탑승 가능

단점

  1. 속도 경쟁력 부족 – 지하철·버스보다 더 오래 걸리는 구간 많음
  2. 선착장 접근성 한계 – 일부 선착장은 버스·지하철 환승 불편
  3. 초기 혼잡 – 개통 첫날 긴 대기 줄, 예약 시스템 미흡
  4. 재정 부담 – 운영비 대비 수요 안정화가 관건

 

향후 개선 전망

  • 선박 증편 → 하루 48회 이상 운항 목표
  • 무료 셔틀버스 노선 확대, 따릉이 거점 확충
  • 실시간 운항 정보 앱 제공 예정
  • 한강 야경·관광 패키지 상품 연계 검토

👉 단순 교통이 아닌, 서울의 도시 브랜드로 키우려는 정책적 의도가 크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마무리

서울 한강버스는 아직 시범 단계라 불편도 있지만, 제대로 자리 잡으면 한강은 시민에게 교통 + 관광 + 친환경을 동시에 제공하는 공간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한강이 서울의 새로운 “도로”가 될지 지켜볼 만합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