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급명령 신청부터 강제집행까지, 반드시 알아야 할 절차 총정리

by 골든마운틴 2025. 8. 1.
반응형

지급명령 신청부터 강제집행까지, 반드시 알아야 할 절차 총정리

 

지급명령 신청부터 강제집행까지, 반드시 알아야 할 절차 총정리

"빌려준 돈을 못 받고 답답하셨나요?"
"미지급된 월급, 공사 대금, 임대료가 쌓여만 가고 계신가요?"

복잡한 민사소송 없이도 법적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지급명령 신청 제도입니다.

지급명령은 채권자가 돈을 받을 수 있도록 법원이 간편하게 발부하는 ‘채무 이행 명령서’입니다.

이 글에서 지급명령의 신청 방법부터 이의신청, 소멸시효, 강제집행까지 전 과정에 대해 안내해드립니다.

 

 

 

지급명령 신청이란?

지급명령 신청은 돈을 받아야 할 권리가 있는 사람이 법원에 서면으로 청구하는 간단한 절차입니다. 채무자에게 돈을 받기 위해 굳이 소송을 제기하지 않아도 되며, 상대방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자동으로 법적인 효력을 갖게 됩니다.

  • 친구에게 100만 원을 빌려줬는데 갚지 않는다?
  • 임차인이 월세를 몇 달째 밀렸다?
  • 프리랜서로 일한 후 대금을 못 받았다?

이럴 때 지급명령 신청을 활용하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채권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지급명령신청서.zip
0.18MB

 

지급명령 신청 절차 한눈에 보기

단계 지급명령 절차 설명
1단계 관할 법원에 지급명령 신청서 제출 (서면 또는 전자소송)
2단계 법원이 채무자에게 지급명령 송달
3단계 채무자가 14일 내 이의신청하지 않으면 확정
4단계 확정되면 강제집행 가능

지급명령 신청은 서류로만 처리되기 때문에 직접 재판에 출석할 필요가 없습니다.
특히 전자소송 사이트를 통해 누구나 집에서 손쉽게 신청 가능합니다.

 

전자소송포털 바로가기

 

 지급명령 이의신청 ?

채무자는 지급명령을 받은 후 14일 이내지급명령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의신청이 들어오면 지급명령은 소송절차로 전환되고, 일반 민사재판으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채무자들은 이 절차를 잘 모르거나 귀찮아합니다. 실제로 이의신청이 없는 비율이 70~80% 이상이라는 통계도 있습니다. 이의신청과 관련해서는 법률 전문가에게 도움 받는 것도 추천합니다.

 

 

 

지급명령 소멸시효

소멸시효란 일정 기간이 지나면 권리를 주장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지급명령 신청 자체만으로도 소멸시효가 중단됩니다.

  • 원래 3년, 5년짜리 소멸시효의 채권이라도,
  • 지급명령이 확정되면 소멸시효가 10년으로 연장됩니다.

즉, 채무자에게 바로 돈을 받을 수 없어도 확정만 시켜두면 10년간 강제집행의 기회를 확보하는 셈입니다.

👉 소멸시효가 임박했다면 지금 바로 지급명령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지급명령 강제집행, 돈 안 주면 압류도 가능

상대방이 이의신청을 하지 않아 지급명령이 확정되면, 이는 판결문과 같은 강제집행권원으로 활용됩니다. 즉, 법원 명령 없이도 상대의 급여, 통장, 부동산, 자동차 등을 압류할 수 있습니다.

지급명령 강제집행의 핵심 포인트

  • 지급명령 확정 → 집행문 없이도 바로 집행 가능
  • 은행계좌, 임대보증금, 급여 등 다양한 채권 압류 가능
  • 상대방의 재산정보는 법원 '채무자 재산명시 신청'으로 파악 가능

 

돈은 받을 수 있습니다, 방법을 몰랐을 뿐

받아야 할 돈이 있는데도 그냥 포기하려고 하셨다면, 오늘 이 글이 당신에게 꼭 필요한 글이 되었으면 합니다.
지급명령 신청은 간단하고 강력한 법적 수단입니다.

  • 상대방이 반응하지 않으면? → 이의신청 없이 확정
  • 확정되면? → 소멸시효 10년 보장 + 강제집행 가능

 

 


TOP

Designed by 티스토리